K

  • 홈

DevOps/Docker 1

[Docker] 컨테이너 포트와 호스트 포트는 무엇일까?

지금까지 도커를 사용하면서 컨테이너를 실행시킬 때 -p 옵션으로 포트를 지정했다. 하라고 해서 했는데 왜하는 건지, 무슨 의미인지 모른 체로 나중에 찾아봐야지..라고만 생각했다. AWS ECS에서 태스크 정의를 생성할 때 컨테이너 포트를 설정하는 파트가 있었는데 이게 뭔지 도대체 무슨 역할인지 몰라서 찾아보기를 실행에 옮겼다. AWS 공식 문서에서 태스크 정의 포트 매핑에 대해 찾아봤다. Container port와 Host port 두 종류가 있다고 한다. 두 포트의 차이점이 뭔지 몰랐는데, 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-p 옵션으로 줬던 포트 옵션이 호스트포트:컨테이너포트였던 기억이 있어서 도커 포트에 대해 찾아봤다. 호스트 포트의 경우 외부에서 접속하게 되는 호스트(로컬)의 포트를 의미하고, 컨테이너..

DevOps/Docker 2023.06.29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ki1111m2 - Junior Developer

  • 전체 (215)
    • DevOps (12)
      • AWS (3)
      • Docker (1)
      • IaC (1)
      • CI CD (1)
      • Kubernetes (3)
      • Kafka (1)
      • ELK (2)
    • Code (67)
      • Algorithm (17)
      • Python (39)
      • Javascript (10)
      • Flutter (1)
    • Code States (136)
      • TIL (129)
      • 회고 (7)

Calendar

«   2025/08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Github Notion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